본문 바로가기
연금시리즈

국민연금, 언제부터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by 에이블파이 2025. 8. 23.

국민연금, 언제부터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국민연금, 언제부터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국민연금, 언제부터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얼마 전, 지인 모임에서 “국민연금 언제부터 받을 수 있냐”는 질문이 나왔습니다.
한 분은 “60세부터 받는 거 아니야?”라고 하고, 또 다른 분은 “65세부터라던데?”라며 의견이 분분했죠.
저도 그때까진 정확히 몰랐습니다.

그래서 국민연금공단 자료를 찾아보고, 제 예상연금액도 조회해 봤는데요.

받는 나이도 다르고, 금액 차이도 크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오늘은 이 부분을 정리해서, 여러분께 쉽게 설명해드리려고 해요.


📌 목차

  1. 국민연금 수령 나이, 출생연도에 따라 달라진다
  2. 조기 수령 vs 연기 수령, 어떤 게 유리할까?
  3. 국민연금 수령액은 어떻게 계산될까?
  4. 예상연금액 확인하는 방법
  5. 제가 느낀 국민연금 준비의 중요성

 

1. 국민연금 수령 나이, 출생연도에 따라 달라진다

많은 분들이 ‘국민연금은 60세부터 받는다’고 알고 계시지만
찾아보니 출생연도에 따라 연금을 받는 나이가 다르더라고요

  • 1953~56년생: 만 61세부터
  • 1957~60년생: 만 62세부터
  • 1961~64년생: 만 63세부터
  • 1965~68년생: 만 64세부터
  • 1969년 이후 출생자: 만 65세부터

👉 즉, 지금 40~50대라면 대부분 만 65세부터 국민연금을 받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2. 조기 수령 vs 연기 수령, 어떤 게 유리할까?

국민연금은 무조건 정해진 나이에만 받을 수 있는 게 아닙니다.

  • 조기 수령: 정해진 나이보다 최대 5년 일찍 받을 수 있음. 단, 수령액은 줄어듭니다. (1년 당 약 6%씩 감액)
  • 연기 수령: 정해진 나이보다 늦게 받을 수 있음. 대신 수령액이 늘어납니다. (1년 당 약 7.2% 인상, 최대 36%까지)

예를 들어, 만 63세부터 받을 수 있는 분이 68세까지 연기하면 매달 받는 연금액이 꽤 크게 늘어나죠.
저는 이 부분을 알게 된 후 “연금을 언제 받을지가 내 노후 전략의 핵심”이라는 걸 느꼈습니다.


3. 국민연금 수령액은 어떻게 계산될까?

국민연금 수령액은 단순히 “내가 낸 돈”만으로 결정되지 않습니다.
다음 3가지가 주요 기준이에요.

  1. 가입 기간 (몇 년 동안 냈는가)
  2. 가입자의 평균 소득 수준
  3. 전체 가입자의 평균 소득 수준

즉, 오래 낼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수령액도 올라갑니다.
제가 확인했을 때 제 예상연금액은 월 100만 원 정도였는데, “이걸로 생활은 어렵겠구나” 싶더라고요. 그래서 개인연금을 추가로 준비하기 시작했습니다.


4. 예상연금액 확인하는 방법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내 연금 (nps.or.kr)에 들어가시면,
본인의 예상 수령액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도 처음엔 귀찮아서 미뤘는데, 막상 조회해 보니 구체적인 숫자가 보이니까 계획을 세우기가 훨씬 쉽더라고요.


5. 제가 느낀 국민연금 준비의 중요성

국민연금은 분명히 노후를 위한 기본 안전망이지만, 국민연금만으로는 부족합니다.
그래서 저는 국민연금을 기본으로 하고, 퇴직연금·개인연금까지 더해서 3층 보장제로 준비하려고 합니다.

결국 중요한 건,
👉언제부터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미리 알고, 내 상황에 맞게 전략을 세우는 것”입니다.


결론 및 행동지침

국민연금은 은퇴 후 생활의 기초 체력과 같습니다.
언제,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모른 채 막연히 기다리기보다는,
지금 당장 내 예상연금액을 확인하고 조기 수령 vs 연기 수령 전략까지 생각해보셔야 합니다.

여러분의 노후는 스스로 지키는 겁니다.
오늘 바로 ‘내 연금 점검’ 해보시는 건 어떨까요?